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경인대증후군

728x90

장경인대증후군이란 장경인대와 대퇴골의 외측상과 사이에서 발생한 과도한 마찰로

무릎 바깥쪽에 통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장경인대는 장골에서부터 경골의 상부까지 이어진 두꺼운 대퇴근막을 말하는데

장경인대의 근위부의 뒤쪽에는 대둔근이 있고 앞쪽에는 대퇴근막장근이 있어요

장경인대는 무릎을 편 자세를 유지하게 해주며 무릎이 반쯤 굽힌 자세에서

체중을 지지하여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경인대증후군은

지속적인 굴곡과 신전 운동을하는 장거리 선수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통증은 휴식을 취하거나 다리를 쭉 뻗어서 걸으면 완화되고 무릎을 구부리면 통증이 다시 나타납니다

달리기 손상 중 두번째로 흔한 질환이라고 합니다

 

증상

 

무릎 바깥쪽 통증이 있으며 주로 무릎 바깥쪽의 관절면에서 위쪽으로 2cm정도 떨어진 곳에 발생합니다

내리막길을 달릴 때 통증이 발생하기 쉽고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됩니다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때 소리가 나기도 하며 통증이 경골이나 관절의 측면을 따라 퍼지는 양상이 나타나고

30도정도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서 있을 때 통증이 증가하게 됩니다

 

원인

 

장경인대가 짧아진 경우

운동습관에 따라 갑작스러운 과도한 강도의 운동

반복적으로 오랜시간 가부좌 자세로 앉아있는 경우

좌우로 경사진 길을 달릴 때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달릴 때

수영에서 평형동작이나 입영동작을 할 때

내반슬(O다리)인 경우

양쪽 다리의 길이가 다른 경우

고관절의 내전 구축 (장경인대의 팽팽함)

발꿈치와 발의 회내운동

발이 안쪽으로 회전된 경우

요척족 (발바닥 아치가 지나치게 높은 발

 

 

주의점

 

장경인대증후군의 원인인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운동하기 전 간단하게 준비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고관절 외전근 강화운동을 점진적으로 강화시켜 주는게 좋아요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장경인대 스트레칭은

서 있는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꼬아서 스트레칭 장경인대를 스트레칭 하는 방법과

집에 폼롤러 소도구가 있다면 장경인대 마사지를 해주시면 어느정도 개선시켜줄 수 있어요

 

자세한 문의는

 

전화번호: 02-2658-7828

카카오톡: tkdlove5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