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 썸네일형 리스트형 중둔근 (gluteus medius) 기시점: 장골능 / 둔근건만 정지점: 대퇴골 대전자의 외측경사진 능 신경지배: 상둔신경, L4~5 , S1 작용: 전체적으로 고관절 외전 골반의 안정화 전방섬유는 고관절 굴곡과 내회전 관여 후방섬유는 고관절 신전과 외회전에 관여 중둔근은 가쪽 고관절 근육 중 가장 큰 근육이며 대둔근에 의해 앞이 덮여있고 TFL에 의해 뒤쪽이 덮여 있으며 중간부위는 두꺼운 근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뒤쪽섬유는 비교적 작은편이며 외회전 시 이상근에 의해 도움을 받아요 중둔근의 앞부분은 보통 힘이 세기 때문에 고관절의 과도한 내회전을 유발시키는 경향이 있어요 한 발 서기에서 비체중 부하의 반대쪽 골반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골반 가쪽 안정성을 제공 (보행시 입각기에서 체중의 85%의 힘을 발휘해야 합니다) 중둔근은 약해.. 더보기 허리통증과 다리저림이 있나요? 출처: 자생한방병원 두 발로 걷는 사람에 비해서 네발로 기는 동물은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에 비해 척추에 받는 부담이 훨씬 적는데요. 인간이 직립보행을 하게 되면서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엄청난 혜택을 누리게 된 반면 척추에는 많은 부담을 주는 노동도 함께 시작되었어요 척추가 가장 많이 부담을 가지는 자세 중 하나는 앉아있는 자세입니다 서 있는 시간보다 앉아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긴 요즘 사람들에게는 허리통증도 많고 허리관련 질환 중 추간판탈출증이 있는 분들도 점점 더 늘어나고 있어요 하지만 갑자기 허리통증이나 저림이 생길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허리디스크로 생각하지만 허리디스크가 아닌 허리관련 다른 질환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많아요 표를 보시면 요통에서도 디스크뿐만 아니라 다양한 증상으로 통증이.. 더보기 허리와 햄스트링의 관계 출처: pt_beomjun 햄스트링 단축으로 인한 허리통증 햄스트링은 대퇴부 뒤쪽에 위치한 대퇴이두근(넙다리두갈래근), 반건양근, 반막양근을 통틀어 이루는 말인데요 주로 허벅지 뒤쪽 무릎(오금)을 굽힐 때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요추 골반리듬은 요추부에서 40도 굴곡 고관절에서 70도의 굴곡이 나타나야 합니다 햄스트링의 단축으로 고관절의 굴곡이 제한된다면 요추부나 흉추의 보상적 움직임이 더 많이 생긴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또 한 햄스트링이 단축되면 하부요추의 과운동성이 나타난다고 되어 있으며 상부요추보다 하부요추에서의 후방디스크 사이 간격이 더 증가되었다고 합니다 실제로 햄스트링이 짧아졌다면 스트레칭만 하기보다는 왜 짧아졌는지 그 원인을 찾아서 풀어주고 늘려주며 강화를 시켜야 도움이.. 더보기 허리가 아픈 이유?? 우리는 여러가지 이유로 허리통증이 생기는데요 오늘은 여러가지 이유 중 하나인 요추부의 신전/회전 스트레스에 의한 통증을 알아볼께요 관련근육 단축된근육: TFL, 장요근, 대퇴직근, 요방형근 약화된근육: 후중둔근, 복횡근, 외복사근, 복직근 우리가 움직일 때 즉 몸을 돌리고 앉았다 일어서고, 걷고 뛰고하는 움직임에 있어 요추부의 신전과 회전의 동작이 우세하게 작용되어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허리통증을 유발 시킬 수 있어요 복근이나 둔근보다 고관절 굴곡근이나 광배근이 더 우세한 경우 골반이 전방경사지게 되어 허리에 신전압을 줄 수 있고 이들 근육들이 편측으로 긴장도가 높을 시 요골반부에 불필요한 회전을 증가시켜요 TFL에 대항하여 복사근들이 작용하지 못해 요추부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 복사근의 골반은 외측경사.. 더보기 허리통증으로 고민이신가요?? 허리통증으로 고민이신가요?? 하루3분 투자로 건강한 허리를 만들어보세요 집에 요가매트가 있으시면 매트로 매트가 없으시면 바닥에 이불을 깔고 진행합니다 제일먼저 요가매트에 엎드린 자세에서 손바닥은 바닥 시선도 매트 바닥을 향하여 바라보세요 (상체 긴장은 풀어주세요) 호흡을 내쉬면서 허리를 뒤로 젖혀주세요 이때도 상체와 어깨의 긴장이되지 않게 합니다 다시 코로 호흡을 마시면서 상체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첫번째 동작에서 어느정도 근력이 생겼다면 이제 두번째 응용동작을 해볼께요 첫번째랑 같은 동작에서 호흡을 내쉬면서 손바닥으로 바닥을 눌러주면서 팔꿈치를 바닥에서 띄어 상체를 뒤로 젖혀주세요 첫번째 동작과 두번째 동작의 차이점은 첫번째 동작은 팔꿈치가 바닥에 닿아있는 상태에서 허리를 젖히는 동작이고 두번째 동작은 .. 더보기 허리를 숙일 때 통증이 있으신가요? 저번에는 체간굴곡과 SLR test, 무릎당기기 test를 올렸는데요 저번 포스팅과 비슷한데요!!!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통증이 있다면 지금부터 포스팅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요통이 있는 분들은 앞으로 숙일 때 러리통증이 있는 분들이 많아요 전방굴곡의 정상은 손이 발끝에 닿아야 합니다 발끝에 닿지 않는다면 요추 혹은 고관절 굴곡에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방굴곡: 요추굴곡 + 고관절굴곡 요추의 굴곡: 척추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굴곡되어야 합니다 고관절의 굴곡: 천추각이 70도 이상되어야 합니다 1. ROM test - 요추의 굴곡 부족 - 천골각의 부족 - 손이 닿지 않음 - 숙이는동안 요통, 허벅지(햄스트링)의 당김 2. Special test - ASLR test: Posterior Ch.. 더보기 허리통증이 있을 때 출처: pt_beomjun 체간굴곡 (Trunk Flexion test) - 발을 모으고 바로 선 자세에서 무릎을 편채로 몸을 숙여 손가락 끝으로 발가락 또는 바닥에 닿습니다 - 후방으로 체중이 이동되며 척추곡선이 균일하여야 합니다 - 시선을 아래쪽으로 보게하여 경추신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합니다 - 통증이나 과도한 노력없이 척추각이 최소 70도이상 나와야합니다 - 불가능할 시 Longsitting position에서 검사를 진행합니다 체간굴곡 (Longsitting position) - 하지에 체중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검사를 진행합니다 - 다리를 펴고 앉아 발목을 살짝 당겨 중립에 놓고 손을 발끝에 닿게합니다 - 척추 굴곡이 균일하여야하며 천추각이 80도이상 나와야합니다 - Pain/LOM 없이 가능하다.. 더보기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은 선천성 혹은 후천성 척추관이 좁아져서 복합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것 입니다 대개 나이가 들수록 심해지고 보행 시 신경학적 파행이 일어나 종아리 부위의 피로감으로 잘 걷지 못하게 되며 하지의 연관통이 생겨요. 또 한 척추뼈 안쪽으로 지나고 있는 신경이 척추 주변 인대나 구조물의 비정상적 증식으로 인해 압박을 받게되고 퇴행화가 일어나면서 이러한 자극 때문에 신경이 지배되는 영역에 각종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증상 1. 서 있거나 걸을 때 혹은 누워 있을 때 척추를 펴는 동작을 하면 요통과 하지 통증이 악화된다 2. 하지의 근력이 약화되고 통증이 동반된다 3. 하지로 향하는 혈류장애는 없다 4. 오래 걸으면 통증이 생기므로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면서 걷게되며 그때마다 일정한 거리 정도로만 걸을 수 ..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