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여러가지 이유로 허리통증이 생기는데요
오늘은 여러가지 이유 중 하나인
요추부의 신전/회전 스트레스에 의한 통증을 알아볼께요
관련근육
단축된근육: TFL, 장요근, 대퇴직근, 요방형근
약화된근육: 후중둔근, 복횡근, 외복사근, 복직근
우리가 움직일 때 즉 몸을 돌리고 앉았다 일어서고, 걷고 뛰고하는 움직임에 있어
요추부의 신전과 회전의 동작이 우세하게 작용되어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허리통증을 유발 시킬 수 있어요
복근이나 둔근보다 고관절 굴곡근이나 광배근이 더 우세한 경우
골반이 전방경사지게 되어 허리에 신전압을 줄 수 있고
이들 근육들이 편측으로 긴장도가 높을 시 요골반부에 불필요한 회전을 증가시켜요
TFL에 대항하여 복사근들이 작용하지 못해 요추부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
복사근의 골반은 외측경사와 전방경사를 조절하고 L4~5, S1분절의 회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므로 기능적으로 월활하지 않을 시 요추부가 불안정해집니다
요골반부의 회전
엎드린 PRONE 자세에서 한 쪽 다리는 길게 펴고
반대쪽 다리는 90도로 구부려 직각유지
90도로 구부린 다리를 회전 할 때
골반의 정렬이 움직이지 않아야 정상
한 쪽 골반이 들린 자세
외회전근의 단축 의심
내회전의 시작부터 요골반부가 움직여요
골반의 정렬을 유지한체 정상자세
내회전근의 단축의심
외회전의 시작부터 요골반부가 움직여요
요추의 신전과 회전을 과도하게 유발시키는 요인
Back extensor 둔근/복근
우리가 누운자세에서 일어나거나 앉았다 일어날 때
허리를 숙였다가 다시 일어날 때 둔근이나 복부근육의 활성도가 낮으면
Back extensor들이 더 우세하게 작용하여 요추부에 불필요한 신전/회전을
증가 시킬 수 있으니 평소에 hip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체간굴곡 복귀 시 Back extensor의 우세
정상적 자세
먼저 서 있는 자세에서 긴장을 풀고
척추를 분절하며 부드럽게 내려가야 합니다
올라올 때도 척추 분절하여 올라옵니다
비정상적 자세
똑같이 척추를 분절하여 내려갑니다
허리가 내려갈 때도 올라갈 때도 척추부의 신전이 먼저 일어납니다
테스트를 하여 짧아져 있는 근육이 있다면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하면서 풀어주고
약해져 있는 근육이 있다면 해당 근육들을 강화시켜
건강한 허리를 만들어봐요 ^^
'필라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통증과 다리저림이 있나요? (0) | 2022.12.13 |
---|---|
허리와 햄스트링의 관계 (0) | 2022.12.12 |
척추측만증 (Scoliosis) (0) | 2022.11.29 |
가슴통증 (흉통) (0) | 2022.11.24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