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표적으로 척추측만증이라고 하면 S자형의 측만증을 생각하시죠?
척추측만증은 다양한 척추모양의 측만증이 있어요
슈로스의 관점에서보면 측만증의 종류를 나누는 이유는
분류에 따라 운동의 방법과 자세가 조금씩 바뀌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맨처음 분류법을 접하였을 때 커브 타입을 헷갈리기 마련인데요
저 그림을 보고 어떤 커브타입인지 알아야 슈로스운동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또 한 좌우가 반대되는 reverse type까지 고려하게되면
측만증을 분류할 때 정말 난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요
측만증을 공부하는 분들은 왜 이런분류를 하게 되었고
어떤 기준으로 분류를 행하였는지에 대한 기준을 공부하시면 조금 더 쉽게
분류법을 기억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서 측만증 커브패턴의 그림이 기억이 나지 않더라도
분류에대한 기준만 명확하다면 어려움없이 분류를 할 수 있을거에요
예) 3curve type , 4curve type부터 이해하면서
골반 요추에서 body block이 한개이냐? 두개이냐?에 따라
크게 3curve type or 4curve type으로 나뉩니다
측만증 운동시 기억해두면 좋아요
1. Elongation
2. Deflexion
3. Derotation
4. facilitation
5. stabilization
728x90
'필라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와 햄스트링의 관계 (0) | 2022.12.12 |
---|---|
허리가 아픈 이유?? (0) | 2022.12.09 |
가슴통증 (흉통) (0) | 2022.11.24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0) | 2022.11.17 |
승모근(trapezius) (0) | 202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