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라테스

전거근/앞톱니근

728x90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tior)

 

기시점: 1~9번 늑골

정지점: 견갑골의 내측연

 

작용: 견갑골의 전인, 상방회전, 견갑골의 안정화

 

신경: 척추 신경의 후지

 

1. 견갑흉곽관절에서 가장 중요한 내밈근육

 

2. 견갑골을 흉곽쪽으로 당겨 붙이는 역할 (견갑골의 안정화)

 

3. 팔굽혀펴기의 마지막 단계에서 견갑골의 내밈을 수행함으로 바닥으로부터

몸통을 더 멀리 들어 올릴 수 있게 해주는 근육 (Push up Plus)

 

4. 견갑골의 고정시 갈비뼈를 들어올리는 기능 (호흡 보조근으로 작용)

 

5. 견갑골의 상방회전을 만드는 중요한 근육

(상부승모근, 하부승모근과 함께찍힘, 주행 방향이 가장 효율적인 상방회전근육)

 

6. 상방회전동안 전거근은 내밈작용 (중부승모근이 이에 대항해 후인작용)

 

7. 완전한 견갑골의 상방회전에서

(전거근이 우세하다면 내민되고, 중부승모근이 우세하다면 후인 된다)

 

8. 견갑골의 가쪽 돌림을 만든다

(전거근이 견갑골의 내측연을 앞으로 당길 때 중부승모근은 견갑골의 외측연을 당긴다)

(흉곽에 견갑골의 내측연을 고정해 안정화 역할)

 

9. 견갑골의 후방경사를 만든다

(전거근이 견갑골의 내측연을 앞으로 당길 때 하부승모근은 견갑골 극을 아래로 당긴다)

 

10. 어깨의 굴곡 / 외전 마지막에 견갑골의 후방경사가 필요

(견갑골의 상방회전과 후방경사는 견봉하공간을 유지시켜주는 역할)

 

전거근의 약화 및 억제

 

1. 전거근의 약화 및 억제되면 익상견갑골 Winging이 나타나요

2. 전거근의 약화 및 억제되면 중부승모근과 극상근에 의해 견갑골의 하방회전이 나타나요

3. 전거근의 약화 및 억제되면 견갑골의 가쪽돌림을 못 만듬 (견갑골의 안정성 소실)

4. 전거근의 약화 및 억제되면 견갑골의 후방경사를 못 만듬 (어깨충돌증후군)

 

Scapular Winging Test

 

검사법

1. 회원은 바로 앉은 자세에서 팔을 몸옆에 늘어트리고 팔꿈치를 굴곡합니다

2. 검사하고자 하는 어깨를 외전합니다

3. 강사는 회원의 팔꿈치 위쪽에 저항은 가해주세요

4. 회원의 견갑골을 관찰합니다

 

검사결과

견갑골의  안쪽돌림이 나타나면서 내측연이 들린다면 양성

견갑골의 하방회전이 나타나면 양성

 

전거근 강화운동

 

전거근 강화운동으로는 플랭크가 있는데요

플랭크는 코어운동으로 유명한 동작이지만

전거근 강화에도 도움을 주는 동작중에 하나입니다

 

push up plus 동작으로

엎드린 자세에서 손바닥을 밀었다 풀었다 하는 동작이에요

손목이 아프거나 힘든분은 무릎을 구부린 자세에서 진행하셔도 되세요

아니면 바닥에 누운 자세에서 양쪽 팔만 앞으로 들어 천장으로 주먹을 밀었다 내렸다 진행하셔도 되세요

 

밴드를 이용한 전거근 강화운동을 할 수 있어요

루프밴드를 손목에 걸고 밴드를 양쪽으로 당겨

팔을 위로 올렸다 내렸다 진행합니다

전거근뿐만 아닌 삼각근 근육과 가슴근육도 함께 작용해요

 

 

728x90

'필라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마켓 광고하기  (0) 2022.09.14
9월 마지막 선착순 무료체험  (0) 2022.09.13
이상근 증후군이란?  (0) 2022.09.06
심혈관 질환이란?  (0) 2022.09.02
오메가3와 음식  (0) 2022.08.31